미술계 소식
문체부, APEC 정상회의 맞아 경주서 한국공예전 '미래유산' 개최
2025.10.28
다음 달 30일까지 경주 천군복합문화공간
'연결·혁신·번영' 정신, 공예의 언어로 풀어
36명의 작가 참여…금속·도자 등 작품 66점
![]() |
| 한국공예전 '미래유산' 포스터.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서울=뉴시스]김주희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과 함께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다음 달 30일까지 경주시 천군복합문화공간에서 한국공예전 '미래유산'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27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한 달여간 과거와 현재, 미래로 이어지는 공예문화의 가치와 철학을 조명하고, APEC이 지향하는 '연결·혁신·번영'의 정신을 공예의 언어로 풀어낸다.
한국공예의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구성된 이번 전시에는 원로장인부터 신진작가까지 총 36명이 참여한다. 금속, 도자, 섬유, 유리 등 작품 66점을 통해 '수월성', '전승과 협업', '지속가능성'의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한국공예의 가치와 미래를 다각적으로 조명한다.
한국공예의 기술적 완성도와 예술적 품격을 보여주는 1부에서는 한국현대 도자 1세대 김익영, 옻칠공예가 정해조, 섬유예술가 장연순, 가구예술가 최병훈과 박종선, 유리조형가 김준용 작가 등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2부에서는 공예의 전승과 협업을 주제로, 공예가만들어내는 '연결'에 초점을 맞춘다.
국가무형유산 갓일(입자장) 보유자 박창영과 5대째 전승자인 박형박 작가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흥행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갓을 전시해 한국 전통 기술이 현대 콘텐츠와 이어지는 문화적 연결의 모습을 보여준다.
유기장 명예 보유자이자 직계 가족인 이봉주, 이형근, 이지호 작가는 3대를 이어온 기술과 장인정신의 계승을 작품으로 증명한다.
창작기획자 정구호는 금속 장인과 협업해 완성한 '반받이'로 공예의 새로운 표현 영역과 협업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2022년 한국인 최초로 로에베 공예상을 수상한 정다혜 작가는 전통 말총공예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과거의 기술과 오늘의 감각이 조화된 작품을 선보인다.
마지막 3부에서는 지속 가능한 공예의 방향성을 탐구한다.
조각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강금성, 폐유리병을 새활용품으로 되살린 박선민, 재활용 재로로 장신구를 제작한 조성호 작가 등이 자연과 인간, 예술이 공존하는 공예의 미래를 제시한다.
아울러 이번 전시와 함께 같은 기간 지역문화공간 하우스오브초이에서는 연계 전시 '공생'이 열린다.
경주를 중심으로 작업하며 현대 분청의 새로운 흐름을 이끌어 온 윤광조 작가를 비롯해 이헌정, 유의정 등 주목받는 현대 도예가들의 작품을 만날 수 있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번 전시가 한국공예의 아름다움과 철학을 세계에 알리는 뜻깊은 자리인 만큼 장인의 손끝에서 이어진 전통의 정신이 미래 유산으로 발전하길 바란다"며 "문체부는 공예가 국민의 일상에 더욱 깊이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