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계 소식

AI 시대 하루 체험해보자…'스마트라이프위크 2025' 개최

2025.09.28

30일부터 사흘간 코엑스서 열려…121개 도시 참여

AI 쇼룸, 로봇 전시·체험관, 글로벌·주제관 등 마련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이재은 기자 = 서울시는 오는 30일부터 10월 2일까지 사흘간 강남구 코엑스에서 스마트 라이프 위크(SLW 2025)'를 개최한다고 28일 밝혔다.

올해로 2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는 80개국 121개 도시와 330개 기업·기관이 참여하며 규모가 두 배 가까이 증가했고, 전시 면적 또한 지난해 대비 72% 늘어났다.

중심 전시는 'AI 쇼룸'이다. 아침에 눈을 뜨는 순간부터 밤에 잠들기까지 하루 일상의 흐름을 따라가며, 인공지능이 생활 전반을 어떻게 바꾸는지 보여준다. 스마트홈 학습 서비스, AI 은행원, 방송 취재용 AI 로봇, 무인 자율차 등 다양한 기술을 직접 체험할 수 있다.

올해 처음 신설된 로봇 전시·체험관은 시민들이 AI 로봇의 진화를 직접 보고 즐길 수 있는 대표 콘텐츠다. 국제 로봇 스포츠 경기 '휴머노이드 로봇 스포츠대회'에서는 양궁, 스프린트, 역도, 비석치기 등 속도와 정확성을 겨루는 실제 스포츠 종목을 로봇이 수행해 관람객에게 높은 몰입감을 선사한다.

또 CES 혁신상을 수상한 약자 돌봄 로봇, 웨어러블 재활 로봇, 재난 대응 로봇, 우주·수중 탐사 로봇 등도 만나볼 수 있다. 국내 60여개 로봇 기업과 약자동행 기업이 참가해 로봇이 사회적 약자를 지원하고, 인간의 한계를 극복하는 동반자로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줄 예정이다.

글로벌관에는 IBM, 알리바바, 딥로보틱스, MIT, 케임브리지대학 등 세계적 혁신 주체들이 참여해 최첨단 AI 기술을 전시한다. 주제별 전시관은 시민 생활과 밀접한 미래상을 제시한다.

특히 올해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기후테크 분야도 강화했다. '기후테크 컨퍼런스'에서는 윤순진 서울대 교수, 정무성 현대차 정몽구재단 이사장, 인플루언서 슈카 등이 연사로 나서 탄소중립과 지속가능한 미래 전략을 논의한다.

전시장 입구에서는 세계 최초의 '터널형 키네틱 미디어파사드'가 관람객을 맞는다. 수천 개의 LED 큐브가 역동적으로 움직이며 빛과 영상을 연출하고, 관람객은 로봇과 손을 맞대며 입장하는 상징적 장면을 체험하게 된다.

시민 친화형 프로그램도 있다. 도슨트 투어는 국문·영문으로 하루 13회 운영되며, 전문 해설사의 알기 쉬운 설명과 함께 전시를 돌아볼 수 있다. 현장에서는 QR코드를 통한 오디오 도슨트 서비스도 제공돼 자유로운 관람이 가능하다.

시민이 직접 현장 전시기업을 평가해 수상작을 선정하는 'SLW 시민혁신상'도 올해 처음 신설됐다. 시민 투표와 전문가 평가를 거쳐 마지막 날 C홀 메인 무대에서 10개 기업을 선정해 시상한다.

행사는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열리며, 마지막 날은 오후 4시에 종료된다. 입장은 무료이며, 사전등록을 하지 못한 시민도 현장에서 바로 등록해서 참여할 수 있다.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올해 SLW는 단순한 전시회가 아니라, 시민이 직접 AI 시대의 하루를 체험하고, 지속가능한 도시와 로봇 산업, 기후테크 혁신까지 한자리에서 경험할 수 있는 축제의 장"이라며 "명절 연휴를 앞두고 가족과 친구와 함께 즐기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보기

백남준 ‘칭기즈 칸의 복권’, 광복 80주년 맞아 뉴욕서 부활

"이강소, 대구가 낳은 세계적 거장"…대구미술관서 회고전 130점 전시

검은 비단 위의 금빛 절개…대구간송미술관, 보물 ‘삼청첩’ 56면 최초 공개

창경궁 600년 역사 한눈에…'동궐, 창경궁의 시간' 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