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계 소식

창경궁 600년 역사 한눈에…'동궐, 창경궁의 시간' 개관

2025.09.26

건립·변천부터 일제강점기 이후 복원 과정까지 조명

영춘헌 전각 내부도 특별 개방, 참여형 프로그램 운영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동궐, 창경궁의 시간' 전시 포스터. (사진=국가유산청 제공) 2025.09.26.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전상우 수습 기자 =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가 국가유산진흥원과 함께 오는 30일 창경궁 집복헌에서 '동궐, 창경궁의 시간'을 개관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전시는 ▲창경궁 건립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역사 ▲국왕의 집무 공간 ▲왕실 여성과 세자의 생활 터전 ▲국가 의례의 현장 등 창경궁이 걸어온 600년의 여정을 종합적으로 조망한다.

특히 일제강점기 '창경원' 시절의 훼손과 광복 이후 복원 노력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자료를 통해 궁궐이 겪은 굴곡진 역사를 되돌아볼 수 있다.

창경궁은 1418년 세종이 태종을 위해 지은 수강궁에서 출발해 성종 14년(1483년) 창경궁으로 확장 건립되며 창덕궁과 함께 '동궐'이라 불리는 등 조선 왕실의 핵심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동물원과 식물원이 들어선 '창경원'으로 격하되는 아픔을 겪은 후 광복 이후에서야 복원 과정을 거쳐 오늘날의 모습을 되찾았다.

전시에서는 청각·시각 장애인도 함께 전시를 즐길 수 있도록 수어 해설 영상과 점자 안내 홍보 책자(리플릿)도 제공된다.

아울러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는 30일부터 11월16일까지 영춘헌 전각 내부를 특별 개방해 다양한 참여형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관람객들은 증강현실 기술로 재현한 현종 14년(1848년) '무신진찬의궤' 속 왕실 연회 장면을 태블릿 컴퓨터로 보며 직접 마주하는 듯한 경험을 할 수 있다.

또한 창덕궁과 창경궁을 그린 그림인 '동궐도' 속 창경궁 전각들을 찾아 스티커를 붙이는 체험과 궁궐 내부 사진 촬영 구역(포토존), 휴식공간도 마련된다.

전시와 체험은 사전 예약 없이 누구나 무료로 관람하고 참여할 수 있다. 운영시간은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다. 단, 창경궁 휴무일인 매주 월요일은 관람이 불가하다.

자세한 내용은 궁능유적본부 누리집과 국가유산진흥원 누리집에서 확인하거나 궁능 활용 프로그램 전화 상담실로 문의하면 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보기

백남준 ‘칭기즈 칸의 복권’, 광복 80주년 맞아 뉴욕서 부활

"이강소, 대구가 낳은 세계적 거장"…대구미술관서 회고전 130점 전시

검은 비단 위의 금빛 절개…대구간송미술관, 보물 ‘삼청첩’ 56면 최초 공개

가나아트센터, 하얼빈 출신 조선족 화가 류봉식 개인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