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계 소식

'살아있는 조각의 현장' 세렝게티 공존의 미학 [박현주 아트클럽]

2025.07.15

아프리카 탄자니아 세렝게티 국립공원에서 만난 풍경

코끼리, 기린, 사자, 얼룩말, 하마… 초원 위 평온한 존재감

사파리 짚차로 이동하며 펼쳐지는 야생의 무대

풀밭에서 다시 마주한 '무심'과 '존재'의 미학, 침묵의 조각들

세렝게티는 인간이 자기 자신을 리셋하는 공간

associate_pic
[사진=박현주 미술전문기자] 14일 세렝게티 한복판에서 만난 사자. 일명 소시지 나무위에서 늘어지게 잠을 자고 있는 사자는 인간의 환호에도 꿈쩍도 하지 않고 있어 마치 한폭의 그림이나 조각처럼 보인다. 2025.07.14.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세렝게티(탄자니아)=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 기자 = 세렝게티는 살아있는 조각의 현장이다.

7월 14일. 어두운 밤, 동물들의 웅성거리는 소리에 뒤척이다가 맞이한 아침. 오전 8시, 사파리 짚차에 올라 세렝게티에 들어서는 순간, 관광객은 더 이상 관광객이 아니다.

거대한 야생의 무대에 발을 딛는 그 찰나, 우리는 ‘탐험가’가 된다. 탐험은 곧 발견의 전율로 이어지고, 발견은 본능을 깨운다.

인간은 환호하지만, 동물들은 무심하다. 코끼리도, 기린도, 얼룩말도, 오직 자신에게 집중한다.

이곳에선 모두가 자기 존재의 리듬에 충실하다. 나무, 풀, 바람, 동물… 그들은 이곳의 원주민이다. 방문자인 인간은 다만 경외심을 품은 방문자일 뿐이다.

여긴 말하자면 ‘거대한 야외 조각장’이다. 모든 존재가 저마다의 조형으로 우뚝 서 있다. 기린의 목선, 얼룩말의 무늬, 코끼리의 발걸음, 사자의 침묵까지.

세렝게티는 단지 풍경이 아니라, 살아 있는 조각의 현장이다.

associate_pic
[사진=박현주 미술전문기자]세렝게티에서 풀을 뜯는 기린.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이 거대한 초원 위에서 인간은 절대 짚차에서 내릴 수 없다. 인간은 여전히 두려움을 품고 있으며, 동물들은 결코 그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여기에 존재할 수 있다. 그것은 인간과 동물이 암묵적으로 맺은 하나의 조약 덕분이다. 서로의 삶을, 서로의 거리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약속. 공존의 미학은 '약속의 미학'이다.

associate_pic
[사진=박현주 미술전문기자] 세렝게티의 오전. 한 무리의 얼룩말이 나타난 가운데 대장 말이 조심스럽게 물가로 대열을 인도하고 있다. 이 발걸음은 너무도 신중하고 조심스러워 인간들은 숨죽이며 바라볼 수 밖에 없었다. 2025.07.14.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associate_pic
[사진=박현주 미술전문기자] 대장 얼룩말이 물가로 이끌자 무리의 얼룩말들이 모여들어 물을 마시기 시작했다. 대장 얼룩말은 중간에 서서 끝까지 대열을 이끌며 자신도 물을 마시러 갔다. 2025.07.14.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초원 위 수많은 동물들은 군더더기 없이 산다.

얼룩말은 물가로 다가서기 전 조심스레 경계를 세운다.  대장은 언제나 선두에서 발걸음을 확인하고, 무리 전체의 안전을 확인한 뒤 물을 마신다. 그 경이로운 질서 앞에서 인간은 숨을 죽이고 바라본다.

물소리, 발자국 소리, 그리고 아주 작은 코끝의 경계들. 이들은 ‘협동’이라는 말보다, ‘조화’라는 말에 가깝다. 생존의 리듬이 이토록 아름답다니 감동의 순간이었다.

associate_pic
[사진=박현주 미술전문기자]세렝게티에서 무리지어 이동하고 있는 코끼리들. 2025. 07 14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associate_pic
[사진=박현주 미술전문기자]세렝게티 웅덩이에서 무리지어 잠을 자고 있는 하마들. 2025. 07 14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associate_pic
[사진=박현주 미술전문기자]세렝게티 초원에서 풀을 뜯고 있는 기린들. 2025. 07 14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재판매 및 DB 금지


기린은 나뭇잎을 뜯어먹으며 풍경이 된다. 멀리서 바라보면, 마치 캔버스에 그려진 긴 붓질 같다. 그 우아한 선은 움직이는 드로잉, 살아 있는 선(線)이다.

코끼리는 길을 가로막지 않는다. 코끼리 무리는 마치 고대의 군대처럼 움직인다. 그저 묵직하게 지나간다. 존재 자체로 길이 되는 것이다. 서열, 간격, 속도 모두가 완벽하게 맞물려 있다. 작은 아기 코끼리는 대열의 중앙에, 가장 안전한 위치에서 보호받는다. 그 장면은 마치 대지 위의 살아있는 '고대 조각' 같다.

‘세렝게티는 살아있는 조각의 현장’이라는 문장은 바로 이 순간을 위한 것이다.

하마가 사는 연못에 도착했을 땐, 말로 다 할 수 없는 냄새가 먼저 풍겼다. 고요하지만 결코 평온하지 않은 물 위. 둥그런 머리들이 하나둘 떠오르며 물살을 가른다. 이 정적인 무리도 일종의 살아있는 조각이다. 자연은 시각뿐 아니라 후각으로도 조각된다.

아름다움이란 때때로 불쾌함과도 공존한다는 진실을 이 하마들은 말없이 증명했다.

조각은 시각만으로 인식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감각의 전체로 존재를 각인시킨다.

associate_pic
[사진=박현주 미술전문기자] 14일 세렝게티 소시지 나무위에서 사자 두마리가 늘어지게 잠을 자고 있다. 2025.07.14.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associate_pic
[사진=박현주 미술전문기자]세렝게티에서 서식하는 소시지 나무에 올라 늘어지게 잠을 자고 있는 사자. 인간의 환호 소리에도 꼼짝 않고 있다. 2025. 07 14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associate_pic
[사진=박현주 미술전문기자] 세렝게티 초원에서 사자 가족이 낮잠을 즐기고 있다. 새끼 사자들이 고개를 들고 이방인들에 호기심을 보이고 있다. 2025. 07.14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그리고 사자. 햇살과 바람을 이불삼아 대지를 점령한 사자들은 인간의 소리 따윈 아랑곳하지 않았다.

그들은 소리 없는 위엄이었다. 나무 그늘 아래 무리를 이룬 채, 때로는 눈만 깜빡이며, 꼬리 한 번 휘저으며 시간을 견디는 존재들. ‘사자의 품격’이란 말은 단순한 찬사가 아니다.

나른하게 낮잠을 자고 있는 무리, 가끔 머리를 들고 주위를 둘러보는 그 느릿한 움직임. 움직이지 않기에 더 강하고, 군림하지 않기에 더 위엄 있다. 강함이란 본래 조용한 것인지도 모른다. 이들이 드러누운 모습은 마치 ‘자연의 왕’이 아니라 ‘존재의 중심’처럼 보였다. 그 앞에서 인간은 그저 입을 다문 채 숨죽여 바라보는 카메라 뒤의 방문자일 뿐이었다.

associate_pic
[사진=박현주 미술전문기자] 세렝게티 초원을 지키는 아카시아 나무. 나무모양이 우산 같아 우산 나무로 불린다. 2025. 07.14,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associate_pic
[사진=박현주 미술전문기자=세렝게티 초원에서 코끼리들이 대를 지어 이동하고 있다. 조용히 걷고 있지만 존재만으로 무게감을 발산했다. 2025. 07.14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세렝게티’라는 이름은 마사이족 언어로 ‘끝없는 평야(Siringet)’를 뜻한다.

탄자니아와 케냐에 걸쳐 있는 약 3만㎢ 규모의 생태계로, 지구상에서 가장 광활한 야생동물 서식지 중 하나이며, 1981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

이곳의 풍경은 수평선을 기준으로, 나무 한 그루, 구름 한 조각까지도 정교한 조형물처럼 다가온다.

그중에서도 아카시아 나무는 초원의 수호자 같다. 마치 마사이족처럼 대지를 지키고 선 조형물. 멀리서 보면 그늘 하나의 위치까지 계산된 듯, 공간과 생명이 한데 엮인 풍경이 된다.

그런데 왜 인간은 이토록 환호했을까.

기린 하나, 얼룩말 몇 마리만 나타나도 짚차 위에서 터지는 박수와 감탄.  그것은 단지 ‘희귀한 장면’ 때문만은 아니었다. 우리 안에 여전히 살아 있는 원시성과 야생성, 문명과 제도의 틈에 억눌려 있던 ‘본래의 나’를 깨우는 순간이었기 때문이다.

세렝게티에서의 환호는 단순한 외침이 아니라, 내면에서 울려 나오는 ‘내가 살아 있다’는 신호였다.

인간은 초원에서 자기 존재를 되찾는다. 그것은 목소리가 아닌, 존재의 방식으로 이뤄진 언어다.


짚차 위에서 환호하다, 어느 순간 조용해지는 사람들. 기린과 사자, 얼룩말과 코끼리, 하마까지… 그들이 보여주는 건 말이 아니라 움직임이었고, 감정이 아니라 태도였으며, 표현이 아니라 존재 그 자체였다.

문명의 도시에서는 스케줄과 의무, 타인의 시선에 얽매여 있던 존재. 그러나 이 초원 위에서는 오롯이 자기 자신으로 돌아온다. 자기애가 회복되고, 존재감이 회복되는 곳. 세렝게티는 인간이 자기 자신을 리셋하는 공간이다.

이제야 새긴다. 존재란, 그렇게 ‘있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는 것을.

그리고 그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하나, 침묵의 조약. 우리는 선을 넘지 않았고, 그들은 우리를 받아들였다.

세렝게티에서의 하루는 하나의 전시였다.

대지라는 갤러리, 동물이라는 조각, 바람이라는 큐레이터, 그리고 우리. 인간은 단지 관객이었다. 자연은 연출자가 아니었고, 우연은 곧 질서였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이 가능했던 또 하나의 이유. 그건, 인간과 동물이 암묵적으로 맺은 하나의 약속 덕분이다.

서로의 삶을, 서로의 거리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약속. 공존의 미학은 결국, 약속의 미학이다.

그리고 그 약속은, 아무 말 없이 서로를 바라보는 '침묵의 예술'이었다.

associate_pic
[사진=박현주 미술전문기자] 14일 세렝게티 초원은 동물과 인간의 암묵적인 선을 지키며 공존의 미학을 보여줬다. 동물은 초원에서 인간은 자갈길 짚차에서 내리지 않고 응시하며 서로의 존재감을 지켰다. 2025. 07.14.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associate_pic
[사진=박현주 미술전문기자] 끝없이 이어지는 세렝게티 초원을 달리는 사파리 짚차.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보기

"DDP서 사물과 의자에 담긴 시대의 디자인 만나세요"

군산대 박물관, 전북 문화유산 기록한 학생 작품 기획전

'두산인문극장 2025:지역' 마무리…관객 8000명과 호흡

아트선재×국제갤러리, 젠더퀴어 전시 ‘오프사이트 2’ 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