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계 소식
"다정한 위로의 자리"…제2회 인문문화축제, 시민 호응속 마무리
2025.11.25
토크콘서트 '다정한 대화', 전 회차 매진
사례공유로 인문이 만든 실질적 변화 공유
체험·전시·공연 등 시민 참여형 프로그램 확대
![]() |
| [서울=뉴시스]'제2회 인문문화축제' 인문 토크콘서트에 참석한 김영하 소설가, 요조 작가. (사진=예술위 제공) |
이달 1일부터 23일까지 전국 28개 지역에서 열린 45개의 연계 인문 프로그램도 활발히 진행되며, 많은 시민들이 일상 가까운 곳에서 인문을 만나는 계기가 됐다.
올해 축제는 '다정한 존재들'을 주제로, 단절과 고립의 시대 속에서 인문이 관계를 회복시키는 힘에 주목했다. 토크콘서트·사례공유·전시·체험·공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인문이 실제 삶과 공동체 안에서 일어내는 변화를 시각화했다.
축제의 대표 프로그램인 인문 토크콘서트 '다정한 대화'는 사전예약 전 회차 매진을 기록하며 큰 관심을 모았다. 응급의학과 전문의, 소방관, 작가, 배우, 심리학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단절의 시대에 서로를 잇는 다정한 시선을 주제로 삶과 마음의 이야기를 전했다.
![]() |
| [서울=뉴시스]'제2회 인문문화축제' 인문 토크콘서트에 참석한 예수정 배우, 연상호 영화감독, 이성민 교수. (사진=예술위 제공) |
둘째 날에는 양다솔·원소윤 작가와 조아란 출판마케터가 '오늘 하루를 잘 보내는 법'을 통해 청년 관객들의 공감을 이끌었고, 장재열 월간 '마음건강' 편집장, 김지용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김경일 인지심리학자는 '오늘을 살아낸 너에게' 세션에서 불안과 소진의 시대를 살아가는 마음의 언어를 짚었다. 예수정 배우, 연상호 영화감독, 이성민 한국방송통신대 교수는 '타인의 삶, 그리고 나'를 주제로 예술과 현실을 오가며 타인의 삶을 이해하는 시선을 제안했다.
매 세션 말미에는 관객 질문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며 전문가들과의 직접 소통이 이뤄졌다. 일상의 고민과 다정함에 대한 생각들이 오가며 객석에는 고개 끄덕임과 미소가 번졌다. "상담실이 아니라 토크콘서트장에서 위로받았다"는 후기가 나오기도 했다.
![]() |
| [서울=뉴시스]'제2회 인문문화축제'의 인문 종이비행기 대회. (사진=예술위 제공) |
22일 '길위의 인문학 & 지혜학교' 사례에서는 도서관·문화시설이 강연·산책·동네 기행 등을 통해 주민들이 자연스럽게 모여 대화하는 '동네 인문공간'으로 재탄생한 과정이 소개됐다. "책만 빌리던 공간이 동네 라운지처럼 변했다"는 평가가 이어졌다.
청년 사례에서는 고립·은둔 청년들이 인문 모임에서 다시 말을 시작하고, 목적 없이 나누는 대화가 회복의 계기가 된 경험이 전해졌다. 학교 밖 청소년 사례에서는 글쓰기·대화를 통해 "처음으로 내 이야기를 끝까지 말해본 경험"을 하며 일상을 바라보는 시선이 달라졌다는 후기가 소개됐다.
![]() |
| [서울=뉴시스]'제2회 인문문화축제'의 공연 장면. (사진=예술위 제공) |
23일 ‘디딤돌 인문학(한국형 클레멘트코스)’’사례에서는 독서·토론·연극을 통해 수감자·노숙인이 스스로를 다시 호명하게 된 변화가 소개되었고, 디지털 과몰입 청소년 인문치유 프로그램은 스마트폰·게임 문제를 ‘통제’가 아닌 ‘성찰’의 관점에서 바라보며 “시간을 줄이는 것보다 함께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DDP 잔디사랑방과 야외 잔디언덕에서는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인문을 자연스럽게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 |
| [서울=뉴시스]'제2회 인문문화축제'의 천근성 작가 협력 전시. (사진=예술위 제공) |
청년인문교실 기획전시 '고립과 은둔, 고독과 외로움의 방'은 청년 정서 문제를 시각적으로 풀어냈다.
야외 잔디언덕에서는 전통 연희·타악·재즈·인디음악 공연이 이어졌고, '어린이 놀이터', '인문 종이비행기 대회' 등 가족 단위 프로그램도 마련됐다.
전국 곳곳에서도 다양한 연계 인문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시민들의 참여가 이어졌다. 경기도 광주의 지역 독립서점 '근근넝넝'에서 진행된 북토크 프로그램 '다정한 한마디, 언제나 기억해'는 한 권의 책을 다양한 시각으로 탐색하며 위로와 성찰의 시간을 제공했다. 희곡 전문서점 '인스크립트'의 협력으로 진행한 '대!단막 희곡 낭독회'는 배우 박정민이 모더레이터로 참여해 배우들의 낭독과 창작자의 대화를 이끌었다.
정병국 아르코 위원장은 "제2회 인문문화축제를 통해 인문이 지역과 세대 전반에서 실제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삶의 현장에서 인문 활동이 지속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