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계 소식

김초엽, 잊었던 '쓰는 감각' 찾는다…미래의 쓰기·도구는 어떨까

2025.11.19

국립한글박물관, '글(자)감(각): 쓰기와 도구' 전시

23명 작가·디자이너 참여…쓰기·도구·AI 등 작품

문화역서울284서 2026년 3월 22일까지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19일 서울 중구 문화역서울284 RTO에서 열린 제5회 한글실험프로젝트 '글(자)감(각): 쓰기와 도구'에서 관람객들이 손글씨를 쓰며 체험을 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쓰기와 도구가 만드는 글자의 질감을 탐구하는 실험적 시도이며, 이날부터 26년 3월 22일까지 진행된다.  2025.11.19.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조기용 기자 = "사각이 된 연필이 조금씩 천천히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낸다. 나를 써주세요. 당신의 모국어로요…나는 말할 거예요. 계속 쓸 거예요. 내가 다 닳을 때까지. 그러면 당신은 내 말을 볼 수 있겠죠." ('사각의 탈출' 중)

한국 대표 SF 작가 김초엽(32)이 17쪽 분량의 단편소설 '사각의 탈출'을 서점이 아닌 전시장에서 발표했다. 국립한글박물관이 19일 서울 중구 문화역서울284 RTO에서 개막한 제5회 한글실험프로젝트 '글(자)감(각): 쓰기와 도구' 전시에서다.

한글실험프로젝트는 여러 분야의 작가들과 협업해 예술·산업 콘텐츠로 한글의 가치를 조명하는 전시이다. 이번 전시는 박물관의 5번째 프로젝트다.

이번 전시는 인간의 감각 기능을 확장하는 도구와 기술의 발달을 '쓰기'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글 쓰는 행위의 가치에 대한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 문자는 쓰는 행위를 보편화시켰고, 인간은 이를 도구를 활용해 단순 기록을 넘어 이성적 사유와 깊은 감성을 표현할 수 있게 됐다.

강정원 국립한글박물관 관장은 이날 전시 언론공개회에서 "(이번 전시는) 인간이 쓰는 행위, 그 과정에서 도구를 발견하는 행위 등 쓰기와 도구의 관계성을 파악하고 의미를 발견한 작업"이라며 "도구의 발전과 문자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조형성을 찾아보려고 했다"고 설명했다.

김초엽의 작품은 전시의 주제에 맞춰 '한글이 아주 먼 미래에 등장한 특수한 쓰기 도구에 유리하다면?'이라는 상상에서 시작됐다. 주인공 '성은수'가 한국어를 사용하는 인공의식 '네모'를 만나며 잊고 있던 쓰기의 감각을 되찾아간다.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제5회 한글실험프로젝트 '글(자)감(각): 쓰기와 도구' 전시에 공개된 김초엽 작가의 단편 '사각의 탈출' (사진=국립한글박물관 제공) 2025.11.19.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이번 전시는 김초엽을 비롯해 작가, 디자이너 등 총 23명이 참여해 책, 공예, 제품, 공간, 미디어아트 등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이 소개된다. 전시장 도입부 '기대고, 붙잡히고, 매달리고, 휘둘리고' 공간에서 김초엽 단편 외에도 각각 쓰기와 도구를 주제로 한 ▲김영글의 '흔적 사전' ▲김성우의 '계속 나의 언어로 쓰는 지극히 주관적인 이유 ▲전병근의 '쓰기의 감각과 생각하는 인간' 등을 만나볼 수 있다.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제5회 한글실험프로젝트 '글(자)감(각): 쓰기와 도구' 전시에 공개된 비케이아이디(BKID)의 '쓰고, 그리고, 사유하기' (사진=국립한글박물관 제공) 2025.11.19.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또 다른 공간에서는 쓰기에 필요한 도구가 전시됐다. 디자인회사 비케이아이디(BKID)의 '쓰고, 그리고, 사유하기'는 무궁무진하게 변형된 필기도구에 집중했다. 연필을 사용하는 습관과 행위를 반영해 17개의 새로운 쓰기 도구를 제작했다. 이 외에도 연필로 가족을 표현한 '함께 쓰는 즐거움'(마음 스튜디오), 한글의 형태를 도구로 구현한 '모음 도구'(비 포머티브) 등이 소개됐다.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제5회 한글실험프로젝트 '글(자)감(각): 쓰기와 도구' 전시에 공개된 박제성 미디어아티스트의 '자간' (사진=국립한글박물관 제공) 2025.11.19.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미래의 쓰기를 조명한 작품도 전시됐다. 인공지능(AI)이 인간과 공존하는 시대가 도래하면서 쓰기의 행위도 변화하고 있다. 박제성 미디어아티스트는 작품 '자간'을 통해 본인이 직접 쓴 시 '흑송이'를 AI에 학습시켜 영상으로 표현했다. 영상은 붓이 움직이면서 한 편의 수묵화를 그려낸다.

또 조영각 작가의 작품 '기획향(機劃香)'은 AI가 한국의 195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 대중문화를 학습해 신조어를 창조한다. 로봇팔에 설치된 붓이 키보드와 패드를 누르면서 설치된 화면에 결과물이 노출된다.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제5회 한글실험프로젝트 '글(자)감(각): 쓰기와 도구' 전시에 공개된 조영각 작가의 '기획향(機劃香)' (사진=국립한글박물관 제공) 2025.11.19.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김은재 국립한글박물관 학예연구사는 "인공지능 시대에 어떻게 인간과 관계를 맺고, 우리의 읽고 쓰는 행위를 바꿀 것인가에 대한 질문이 있었고, 작품들은 질문에 대한 답과 방향을 제시한다"고 말했다.

전시는 지난 2월 발생한 박물관 화재로 인해 관내 전시공간이 아닌 다른 곳을 섭외해 마련됐다. 당초 지난달에 전시하려했으나 연기됐다. 김 학예연구사는 "박물관의 전시공간 270평 규모에서 현재 전시공간 80평에 맞춰 작품을 축소하는 등 수정해서 (전시가) 진행됐다"고 전했다.

전시 외에도 다른 프로그램도 예정됐다. 더불어 국립한글박물관 관계자는 "전시에 참여한 작가들과 관객이 만날 수 있는 자리를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글(자)감(각): 쓰기와 도구' 전시는 문화역서울284 RTO에서 내년 3월 22일까지.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제5회 한글실험프로젝트 '글(자)감(각): 쓰기와 도구' 전시 포스터. (사진=국립한글박물관 제공) 2025.11.19.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보기

여의도 지하벙커서 사진작가 얀 아르튀스-베르트랑 전시

군산근대미술관, 소장품전 '영감의 씨앗, 군산' 개최

김환기 1971년 점화, 123억 낙찰…'우주’ 뒤잇는 한국미술품 경매 2위

"전시회 관람하세요"…노루페인트, '600명 초대'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