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계 소식

백남준 ‘칭기즈 칸의 복권’, 광복 80주년 맞아 뉴욕서 부활

2025.09.27

백남준아트센터, 뉴욕한국문화원서 특별전

associate_pic
‘칭기즈 칸의 복권’ 백남준 전시 전경. 크레딧-정대한, 뉴욕한국문화원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 기자 = 1993년 베니스에서 황금사자를 안겼던 백남준의 ‘칭기즈 칸의 복권’이, 이번엔 뉴욕에서 다시 달린다.

경기문화재단 백남준아트센터(관장 박남희)는 26일부터 11월 22일까지 뉴욕한국문화원에서 광복 80주년 특별전 ‘백남준: 커뮤니케이터’를 개최한다. 백남준아트센터와 뉴욕한국문화원, 현대차 정몽구 재단이 공동 주최·주관하는 이번 전시는 광복 80주년을 기념해 한국 현대미술의 성과와 의미를 세계적 맥락에서 재조명한다.

‘백남준: 커뮤니케이터’는 해방의 의미를 자유와 소통으로 확장하고, 예술의 본질을 ‘소통’으로 탐구한 백남준의 비전을 동시대적으로 해석한다. 기술과 예술을 결합해 감각을 해방시키고 문화 간 연결성을 구현했던 그는 오늘날 K-컬처의 기반을 닦은 예술가로 평가된다.

백남준아트센터는 이번 전시에 총 25점의 소장품을 선보인다. 그 가운데 ‘칭기즈 칸의 복권’(1993)은 베니스 비엔날레 독일관 출품작으로, 백남준에게 황금사자상을 안긴 작품이다. 네온과 문자를 채운 텔레비전을 실은 자전거 위 칭기즈 칸은 동서양을 잇는 실크로드를 ‘전자 고속도로’로 바꾸며, 지배의 방식이 정보와 소프트웨어의 시대로 전환됨을 상징한다.

associate_pic
‘칭기즈 칸의 복권’. 뉴욕한국문화원.  *재판매 및 DB 금지

associate_pic
백남준 전시전경, 크레딧-정대한, 뉴욕한국문화원 *재판매 및 DB 금지


‘칭기즈 칸의 복권’ 외에도 오일스틱 회화 ‘무제’(2001), 뉴욕 타임스와 한국일보 지면 위 드로잉, 텔레비전 수상기를 연상시키는 아크릴릭 회화 등이 함께 전시된다. 허드슨 강을 마주한 뉴저지 풍경은 백남준이 실험했던 벨 연구소와 연결되며, 그의 예술이 도시·기술 환경과 긴밀히 얽혀 있음을 보여준다.

현대차 정몽구 재단이 운영하는 ‘ONSO 아티스트 공모전’ 대상 수상작가 김아름의 신작 ‘미래로 가는 자동차’도 함께 공개된다. 이 작품은 ‘칭기즈 칸의 복권’에서 영감을 받아, 자동차를 과거·현재·미래를 잇는 상징적 매개체로 삼았다.

박남희 백남준아트센터 관장은 “백남준은 끊임없는 실험과 도전을 통해 전 지구적 소통의 가능성을 제시한 예술가”라며 “광복 80주년이라는 뜻깊은 해에 열리는 이번 전시가 관객들에게 깊은 사유와 공감을 불러일으키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보기

"이강소, 대구가 낳은 세계적 거장"…대구미술관서 회고전 130점 전시

검은 비단 위의 금빛 절개…대구간송미술관, 보물 ‘삼청첩’ 56면 최초 공개

창경궁 600년 역사 한눈에…'동궐, 창경궁의 시간' 개관

가나아트센터, 하얼빈 출신 조선족 화가 류봉식 개인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