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계 소식

AIF 홍보대사 유준상 "AI가 미래? 아니.. ART가 미래다"[문화人터뷰]

2025.07.09

아이프칠드런 홍보대사로 '아트드림' 참여

탄자니아 펨바 CDP서 한국인 최초 연기수업 진행

associate_pic
[사진=박현주미술전문기자] 8일 오후 탄자니아 펨바 CDP센터에서  AIF홍보대사 유준상이 아이들과 야외 수업을 하고 있다.2025.07.08.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펨바(탄자니아)=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 기자 =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이들은 숨죽이며 따라 불렀다.

노래도, 그림도 처음인 이들이, 누군가를 바라보듯, 누군가에게 들리듯 그렇게 부르고 있었다.

그 순간, 유준상은 울컥했다.

“우리는 그저 가르치러 온 줄 알았어요. 그런데 가르침은 아이들한테 받았죠. 아이들이 나를, 우리가 잊고 있던 ‘순수’를 꺼내줬어요.”

10년 넘게 월드비전 홍보대사로 활동해온 유준상이 이번엔 예술나눔 공익재단 ‘아이프칠드런(AIF·Art In Future)’의 홍보대사로 나섰다.

7일부터 2주간 아프리카 탄자니아 펨바에서 진행된 AIF 국제예술나눔 프로젝트 ‘K-Emotion 아트드림 탄자니아’에 참여해, 펨바 CDP센터 어린이 300여 명과 함께 ‘자기표현 수업’을 펼쳤다.

노래, 연기, 그림이 오간 CDP센터 강당은 어느새 스와힐리어·영어·한국어가 뒤섞인 감정의 ‘합창장’이 되었다.

CDP센터는 한국인 목사 부부가 2016년 문을 연 펨바 최초의 복합문화교육 공간이다. 유명 관광지인 잔지바르에서 80km떨어진 오지로, 센터는 태권도, 재봉, 컴퓨터, 미술 교육 등 실용성과 창의성을 아우르는 프로그램을 통해 배움의 기회를 넓혀왔다. 특히 이곳에서 성장한 학생들이 다시 교사로 돌아와 교육 현장을 이끌고 있다는 점에서 지역 사회의 자립 모델로 주목받는다. 이번에 진행된 유준상 배우의 ‘자기표현’ 연기 수업은 센터 설립 10년 만에 이뤄진 첫 한국 배우의 방문으로, 예술 교육의 새로운 전환점을 제시했다.

associate_pic
[사진=박현주 미술전문기자] 8일 오후 펨바 CDP센터에서 AIF홍보대사 유준상이 한국인 최초로 연기 수업을 하고 있다.. 2025.07.08.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감정을 직업처럼 쓰지만, 여긴 생존이더라”
“예술은 아이들이 자신을 드러내는 언어입니다. 표현하는 순간 아이들은 달라져요.”

유준상은 아이들에게 물었다. “너희가 가장 기쁠 때는 언제야?”

아이들이 깔깔깔 웃자 그는 “더더더더~!”를 외쳤고, “슬플 땐?” 하자 아이들은 눈을 가리고 울음을 흉내냈다. “화날 땐?”라고 또 묻자 아이들은 바닥을 치며 얼굴을 일그러뜨렸다.

“배우는 감정을 직업처럼 쓰는 사람이죠. 그런데 여기선 감정이 ‘진심’이에요. 아이들 눈빛에서 그걸 느꼈어요. 예술은 결국, 자기 자신을 말하게 해주는 힘이에요.”

언어는 장애가 아니었다. “누가 심호흡을 더 길게 하는지 해볼까?” 유준상이 목청을 뽑아 “야야야야야~!” 소리를 내자, 아이들도 질세라 “야야야야~!”를 폭죽처럼 터뜨렸다. 몸을 흔들고, 표정을 바꾸며 서로를 따라갔다.

표현은 허락이 아니라, 발견이었다. 그는 그것을 몸으로, 그리고 마음으로 배웠다.

◆“킬리만자로는 지도에만 있지 않다”
그는 아이들의 눈빛을 “내면의 킬리만자로가 솟는 광경”이라 표현했다.

“우리는 아이 손에 지도를 쥐여주며 말합니다. ‘봐, 이게 네가 오를 산이야. 너 안에도 이런 세계가 있어.’”

펨바 강당에서 울려 퍼진 ‘아리랑’과 감정 표현의 몸짓은 언어도, 국경도 넘어 진심의 파동으로 번졌다. 예술은 도구가 아니라 통로였다. 세상과 세상 사이, 마음과 마음 사이를 잇는 투명한 포털이었다.

associate_pic
AIF홍보대사 유준상이 펨바에서 아이들과 함께 야외 수업을 하고 있다. *재판매 및 DB 금지



이번 프로젝트는 AIF가 주관한 제4차 국제예술나눔 프로그램이다. 회화, 조각, 자수, 음악, 영화 등 6개 장르의 수업이 진행됐다. 배우 유준상을 비롯해 현대미술 작가 김남표, 아트놈, 박성수, 연누리, 영화감독 민병훈까지 총 6인의 예술가가 참여했다.

“당신의 아이가 오늘 아침 유치원에서 그림을 그리는 그 당연한 순간, 그 경험을 한 번도 해본 적 없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유준상은 말했다. “AIF는 그 아이들에게 생애 첫 크레파스를 쥐여주고, 꿈의 출발선을 만들어주는 예술나눔 공익재단입니다. 기술이 아닌, 가장 기본적인 인간의 권리 위에서 미래를 짓는 거죠.”

associate_pic
펨바 CDP센터 아이들이 AIF홍보대사 유준상를 환영하고 있다. *재판매 및 DB 금지

associate_pic
AIF홍보대사 유준상이 펨바에서 야외 미술수업에 참여하고 있다. *재판매 및 DB 금지

associate_pic
[사진=박현주 미술전문기자[ AIF홍보대사 유준상이 펨바 CDP센터 아이들과 미술수업에 참여하고 있다. *재판매 및 DB 금지

◆“AI가 미래? NO… ART가 미래”
예술은 이제 유준상에게 직업이 아니다. 그것은 존재에 대한 스스로의 대답이다.

아이들이 “표현해도 괜찮다”고 느끼는 그 순간, 그의 대답은 ‘ART in Future’라는 이름 아래 미래를 밝히기 시작한다.

“요즘 사람들은 말합니다. ‘AI가 미래다’라고. 하지만 저는 그 말에 물음표를 던지고 싶어요. AI가 미래? 아니요. 저는 ART가 미래라고 믿어요. 진짜 미래는 만질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기술이 아닌 감정, 속도가 아닌 경험, 그게 예술의 본질이에요.”

아이프칠드런(AIF) 홍보대사이자 ‘예술 나눔’을 실천하는 그는 마지막으로 이렇게 말했다.

“우리가 남기는 게 거창한 결과는 아닐 수도 있어요. 하지만 그날을 기억하는 아이 단 한 명이라도 있다면, 세상은 이미 변하기 시작한 겁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보기

공항 배경으로 '찰칵'…한국공항공사 '스마트폰 공항사진 공모전'

'만나다: 콘텐츠 IP'…콘진원, 캐릭터 라이선싱 페어 2025 개최

'여름방학' 김해서 만나는 유리 예술의 세계 전시회 추천

“미술 수업 가장 큰 변화는 ‘웃음’”…AIF, 펨바에서 펼친 '아트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