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계 소식

광복의 의미, 예술로 재발견…서울문화재단, 한 달간 문화예술행사

2025.07.08

광복 80주년 기념…노들섬부터 대학로까지 서울 시내 곳곳

15일부터 다음 달 17일까지 전시·공연·체험 프로그램 운영

associate_pic
들섬 라이브하우스 건물 외벽 '서울 진관사 태극기'로 꾸민 래핑 전시 가상 이미지. (사진=서울문화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김주희 기자 = 서울문화재단이 광복 80주년을 맞아 오는 15일부터 다음 달 17일까지 서울 시내 곳곳에서 문화예술 행사를 운영한다고 8일 밝혔다.

과거의 역사적 기억을 오늘의 감각으로 다시 연결하고, 미래 세대에 그 가치를 예술로 전달하기 위해 기획된 이번 행사는 노들섬과 대학로극장 쿼드, 5개 권역별 문화예술교육센터 등에서 전시·공연·체험으로 구성된 예술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노들섬 가득 펄럭이는 태극기(8월9~17일)

노들섬 복합문화공간에서는 태극기를 소재로 광복의 가치와 미래에 대한 메시지를 서사적으로 담아낸 전시와 프로그램이 열린다.

전시는 노들섬 라이브하우스 건물 외벽을 '서울 진관사 태극기'로 꾸미는 래핑 전시로 시작한다. 이 전시는 "당신에게 광복은 어떤 의미입니까"라는 질문을 던지며 시민들을 먼저 맞이한다.

2층 야외 노들스퀘어에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태극기인 '데니 태극기' 등 과거에서 현대까지 시대별로 변화해 온 16개의 대형 태극기가 연대순으로 전시된다.

잔디마당에는 노들섬 곳곳에 설치된 1000개의 태극기 바람개비로부터 불어오는 '바람'과 이에 실린 시민들의 '바람'을 미래적 이미지로 형상화한 초대형 태극기 설치미술 작품이 울림을 선사한다.

1층 실내 공간에는 태극기와 함께한 우리나라 근현대사 속의 여러 순간들을 되새겨보는 사진 전시와 여성 독립운동가 80인의 초상화 전시가 열린다.

또한 다음 달 9일 노들섬 잔디마당에서는 '광복 80주년 특별기획' 기념행사가 열려, 9일부터 17일까지의 '광복주간 선포'와 함께 광복을 재현하는 점등식이 펼쳐진다.

◆서울-중앙아시아 교류 광복 80주년 기념 특별공연 '열차 37호'(8월14~15일)

대학로극장 쿼드에서는 서울과 중앙아시아의 예술인들이 공동 창작한 한국어 뮤지컬 '열차 37호'가 공연된다.

'열차 37호'는 1937년 스탈린에 의해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된 고려인들이 중앙아시아에 극장을 세우고 해방을 염원하며 살아온 지난 세월에 존경의 의미를 표하고, 100년 전 독립을 향한 의지와 염원을 표현한 작품이다.

'과거의 100년이 미래의 100년을 이어간다'는 슬로건 아래 국내서 처음 선보이는 작품으로 카자흐스탄 '국립 아카데미 고려극장' 배우들과 국내 창작진이 협업한다.

이번 서울 공연 후 카자흐스탄 알마티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도 순회 공연할 계획이다.

◆태극기 만들며 돌아보는 광복절의 의미 (7월15일~8월16일)

서울시 5개 권역별 문화예술교육센터(양천·용산·강북·서초·은평)에서는 15일부터 다음 달 16일까지 상설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 프로그램은 시민이 이야기의 주체로 참여해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태극기의 역사와 의미를 예술을 통해 되새기도록 기획됐다.

그림작가 '마키토이'와 협업해 특별히 제작한 DIY 키트를 활용한다. 작가는 태극기의 상징 요소인 건, 곤, 감, 리를 해체하고 재구성해 예술작품으로서의 태극기를 새롭게 제시했다. 각자의 시선으로 태극기를 만들어보고 그 과정에서 태극기의 변천사와 광복절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볼 수 있다.

송형종 서울문화재단 대표이사는 "예술이 징검다리가 되어 시민의 마음과 광복의 뜻이 내일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보기

“미술 수업 가장 큰 변화는 ‘웃음’”…AIF, 펨바에서 펼친 '아트드림'

고성공룡박물관 기획전 '흔적이 된 여정' 개막

세대를 관통한 ‘존재’의 공명…류경채·류훈의 ‘공-존’적 대화

다보성갤러리, 중국 감정 전문가 초청 간담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