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계 소식

쓸모 다한 유물의 새쓰임을 찾다…덕수궁서 ‘땅의 조각, 피어나다’展(종합)

2025.11.04

국가유산청, 4~16일 예담고 프로젝트전 개최

덕수궁서 전통과 근대, 과거와 현재 조화 이뤄

"작품이 된 유물이 새로운 쓸모로 다가올 것"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이수린 수습 기자 = 서울 덕수궁에서 '땅의 조각, 피어나다' 전시가 열린다. 레오킴 작가의 작품 '시간의 겹에서 바라보다'.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이수린 수습 기자 = 쓸모를 다 한 석기·토기·청자·기와가 현대의 예술 작품으로 재탄생했다.

4일 서울 덕수궁에서 예담고 프로젝트전 '땅의 조각, 피어나다'가 개막했다. 예담고에 소장된 석기·토기·청자·기와 등 다양한 비귀속 유물들이 작가 8인의 손끝을 거쳐 현대 예술 언어로 재구성된 작품들이 전시됐다.

국가유산청은 이날 덕수궁 인근 한 식당에서 언론간담회를 갖고 전시를 소개했다. 이종훈 역사유적정책관은 이번 전시에 대해 "쓸모가 다 한 것들이 새로운 쓸모를 찾아가는 과정"이라며 쓸모를 다한 유물의 존재 가치를 이야기했다.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이수린 수습 기자 = 서울 덕수궁에서 '땅의 조각, 피어나다' 전시가 열린다. 이규비 작가의 작품 '빛으로 깨우는 유물'. *재판매 및 DB 금지


비귀속 유물은 발굴되었으나 국가 소장품으로 편입되지 않은 유물을 말한다. 보존 상태나 규모에 따른 행정적 구분일 뿐, 지역의 생활문화와 시대적 맥락을 보여주는 사료적 가치는 그대로 유지된다.

예담고는 이러한 유물의 체계적 보관과 활용을 위해 조성된 발굴유물 역사문화 공간으로, '옛것에 현재를 담는다'는 의미를 지닌다.

지난 2022년부터 충청·호남·영남·해양 등 권역별로 운영 중이고, 2027년과 2028년 사이에는 강원·수도권에 추가 조성될 예정이다. 이번 전시는 예담고 사업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이 정책관에 따르면 발굴 유물의 운명은 크게 두 가지로 갈린다. 하나는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전시되고 있는 신라 금관처럼 보자마자 사람들의 경탄을 자아내는 '대단한 쓸모'가 남은 유물이다. '쓸모를 다한' 유물은 수장고 등으로 쓸쓸히 퇴장한다.

이 정책관은 "예담고가 만들어지고 난 뒤, 쓸모를 다한 유물들을 사람들이 와서 만져보고 체험하고 학습하는 자료로 많이 썼다"며 "유물을 이해할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진 것이면서, 기존에 쓸모를 다한 유물들이 새로운 쓸모를 찾아가는 과정이었다"고 말했다.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이수린 수습 기자 = 서울 덕수궁에서 열린 '땅의 조각, 피어나다' 개막식.  *재판매 및 DB 금지

김창억 한국문화유산협회장은 이날 덕수궁 함녕전 마당에서 열린 전시 개막식에서 "이번 전시는 비귀속 유산의 보존과 관리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유물에 대해 해석하고 창작하고 공유의 장으로 확장되는 계기"라며 "이를 통해 문화유산이 과거의 유물로 머무르지 않고 오늘의 삶 속에서 새로운 가치를 지닌 문화유산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고 전시 목적을 설명했다.

이번 전시에는 전통공예와 현대 예술을 넘나드는 8인의 작가가 예담고에 소장된 석기·토기·청자·기와 등 비귀속 유물을 각자 재료와 기술로 재해석했다.

발굴-보존-해석-창작-공유로 이어지는 유물의 '라이프 사이클'을 오늘의 시선에서 재조명하며, 유물이 과거 흔적에 머무르지 않고 현재의 '문화'로 다시 태어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이수린 수습 기자 = 서울 덕수궁에서 '땅의 조각, 피어나다' 전시가 열린다. 최성우 작가의 작품 '발굴의 순간'.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간 역시 전시 주제와 호흡한다. 덕수궁은 조선 왕궁의 품격과 근대의 시간성이 공존하는 장소로, 과거와 현재가 함께 놓이는 전시의 배경으로 상징성을 더한다.

이아영 한국문화유산협회 연구원을 따라 덕수궁 함녕전 마당으로 들어서니 행각을 따라 5점의 작품이 모습을 드러냈다. 이들 작품은 거울 위에 전시돼 행각의 천정과 어우러지고 있었다.

국가무형유산 궁중채화 보유자 최성우는 거울 위로 피어난 연꽃과 깨어진 유물들이 조화를 이루는 '발굴의 순간'을 선보였다

이 연구원은 "거울이 하늘을 비추고 있는 땅이라는 의미"라며 "거울 속에 비치고 있는 유물들의 모습이 우리 문화 유산을 상징하고, 발굴된 축하하는 순간을 최성우 작가께서 남겨줬다"고 설명했다.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이수린 수습 기자 = 서울 덕수궁에서 '땅의 조각, 피어나다' 전시가 열린다. 김은하 작가의 작품 '숨을 띄우는 시간'. *재판매 및 DB 금지


섬유공예가 김은하는 연꽃을 형상화한 섬유공예품 '숨을 틔우는 시간'을 전시하고, 김호준·최지은 예담고의 기와·토기·석기·청자의 결손 부위를 석고로 복원하고 전통회화 작업을 더한 '비워진 자리, 이어지는 이야기'를 선보였다.
 
3D 프린팅 공예가 서은하는 작품 '조각, 새로운 형상을 잇다'에서 친환경 소재로 제작한 화병 등 공예품과 예담고 토기들을 결합해 전통과 현대를 연결한다.

유리공예가 이규비는 예담고 석기들을 소재로 빛과 암흑 속 씨앗의 생명력을 형상화한 유리공예 작품 '빛으로 깨우는 유물'을 전시했다.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이수린 수습 기자 = 서울 덕수궁에서 '땅의 조각, 피어나다' 전시가 열린다. 레오킴 작가가 작품 '시간의 겹에서 바라보다'를 설명하고 있다. *재판매 및 DB 금지


덕수궁 내 덕홍전 내부에는 국가대표 플로리스트인 화예가 레오킴과 사진예술가 김유정이 예담고 기와들을 소재로 한 미디어아트와 식물로 제작한 조형작품 '시간의 겹에서 바라보다'가 자리했다.

가로세로 약 4m 길이의 거울 위로 흙째 이동한 푸른 벼와 기와 20여 점이 미디어아트와 어우러져 탄성을 자아냈다.

레오킴은 "추수가 끝난 벼에서 다시 싹이 나온 모습"이라며 "어떻게 보면 끝났지만 다시 시작하고 또다시 끝나고 시작하는 것들이 현대와 전통, 미래, 다시 또 전통의 이어짐 아닐까가 내 시각"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전시에는 연계 프로그램도 준비돼 있다. 7일 오후 2시 덕수궁 덕홍전에서는 레오킴 작가가 창작과정을 공유하고 작품 시연을 진행한다. 함녕전 화랑에서는 관람객이 유물을 직접 만져볼 수 있는 체험 공간과 석고 조각에 색을 입혀보는 전통회화 체험 프로그램도 열린다.

이 정책관은 "예산이 돼 지역 작가들과 또 새로운 형태의 협업을 이어갈 수 있다면, 국민들에게 예전 사람들이 사용했던 유물이 현대 시점에 새로운 쓸모로 다가올 것"이라며 "문화유산을 폭넓게 이해하면 문화유산을 보호하고 지키고자 하는 노력도 확대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시는 14일까지 열린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보기

세종사이버대 호텔관광경영학과, '대한민국 관광사진공모전’ 성료

‘제1회 뉴시스 반려동물 사진 콘테스트’ 수상작 발표…최우수상 ‘너를 닮은 시간’

갤러리현대 뉴욕 프로젝트 스페이스, 박현기 개인전

엄마는 왜 펠리컨이 됐을까…줄리 커티스, 韓 첫 개인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