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계 소식
그림을 맡다…노인호 '명화와 향수'
2025.07.05
![]() |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 기자 = 눈으로 보던 그림에 향기가 더해지면, 우리는 그것을 더 오래, 더 깊이, 더 입체적으로 기억하게 된다.
'명화와 향수'(아멜리에북스)는 조향사이자 미술 해설가인 저자 노인호가 명화와 향수를 매개로 감각의 예술을 풀어낸 에세이이자 큐레이션 기록이다.
향을 읽는 눈, 그림을 맡는 코. 이 책은 미술 감상의 지형을 확장시키며, 예술이 감각에 도달하는 방식이 얼마나 무한한지를 섬세하게 증명해 보인다.
책은 조향사로서의 시선이 녹아든 명화 감상을 들려준다.
클로드 모네의 '수련' 앞에서 '물의 향'을 느낀 순간, 작가는 생애 처음으로 그림이 냄새로 다가온다고 느꼈다.
이 경험은 이후 뉴욕 현대미술관에서 진행한 ‘향기 투어’로 이어진다. 관람객은 직접 수련향과 아쿠아향을 시향하며, 후각을 통해 회화의 정서를 새롭게 받아들이게 된다.
“물에는 본래 향이 없지만, 누구나 기억 속에 ‘물의 냄새’는 가지고 있다.”
그 말처럼, 누군가에게는 여름 바다의 짠내, 누군가에게는 장마철 빗물의 습기, 또 다른 이에게는 호수 위 잔잔한 물결이 후각을 통해 떠오른다.
그 기억은 시각과 결합해 머릿속의 풍경으로 구체화된다.
모네의 수련을 떠올릴 때, 불가리의 ‘아쿠아’, 다비도프의 ‘쿨 워터’, 아르마니의 ‘아쿠아 디 지오’ 같은 향수가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향은 명화의 감정을 재해석하고, 다시 감각을 소환하는 예술적 순환의 열쇠가 된다.
가장 인상 깊은 장면은 정선의 '인왕제색도'와 소나무 향의 연관성이다.
비가 갠 후 안개가 걷히는 산자락, 그 촉촉한 공기 속 진한 솔 향을 작가는 산타마리아 노벨라의 ‘알바 디 서울’이라는 향수로 떠올린다.
실제로 이 향수는 소나무 추출물을 기반으로 하며, 정선의 화폭 속 새벽 소나무 숲을 후각으로 환기시킨다.
회화 속 장면이 향기라는 또 다른 감각을 통해 재생되는 순간이다.
이 책은 단순한 향수 소개나 미술 감상의 확장이 아니다.
감각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예술이 어떻게 기억의 더 깊은 층위로 도달할 수 있는지를 말한다.
그림이 감정을 여는 열쇠라면, 향수는 그것을 오래 간직하게 만드는 암호다.
우리는 결국, 향기를 통해 기억을 꺼내고 예술을 다시 불러낸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