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계 소식
"대선 뒤엔 못 올지도"…'청와대 이전' 전망에 방문객 급증[현장]
2025.05.23
관람객 "전에는 못 봤던 내부 시설 구경 기대"
尹 파면 뒤 방문객 급증…역대 4월 최다 방문
![]() |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9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를 찾은 관람객들이 본관 대통령 집무실에서 사진을 찍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 선고 후 청와대를 찾는 발길이 늘어나고 있다. 광화문 등 인근에서 이어지던 탄핵 시위가 멈춘 데다, 조기 대선 후 대통령 집무실의 청와대 복귀 가능성도 나오는데 따른 변화로 읽힌다. 2025.04.09. [email protected] |
[서울=뉴시스] 이명동 기자, 박나린 인턴기자 = "정권 바뀌면 못 올 수 있겠다 싶어서 오늘 왔어요."
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청와대를 찾은 70대 여성 김모씨는 방문 이유를 두고 이같이 설명했다. 서울 종로구에 거주하는 김씨는 노무현 정부 때 한 차례 청와대를 방문했다며 그때는 못 봤던 내부 시설을 구경할 수 있다는 데에 기대감을 드러냈다.
뉴시스 취재를 종합하면 제21대 대통령 선거 투표일까지 11일, 사전투표일까지는 6일을 앞둔 이날 청와대 일대는 인산인해를 이뤘다. 평일 오전이지만 청와대 입구부터 관람을 위한 인파가 몰려들었다. 오전 10시께 사전 예약을 하지 못한 수십 명은 현장에서 예약을 진행하기도 했다.
경기 수원시에서 찾아온 윤덕길(82·남)씨는 "1년 전에 방문했지만 행사 때문에 못 들어왔다"면서 "정권이 바뀌면 못 들어올 것 같아서 오늘 방문했다"고 언급했다.
일행과 함께 청와대를 찾은 50대 여성 유모씨도 "새 대통령이 당선되면 다시 청와대로 들어올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한 번도 안 와본 사람을 모아서 왔다"고 귀띔했다.
현장학습을 위해 단체로 청와대를 찾은 중학교도 있었다. 덕원중 재학생이라고 소개한 이들은 "전에 청와대에 와본 적은 없지만 곧 정권이 바뀌면 못 올 수도 있는데 이번 기회에 오게 돼서 운이 좋다고 생각한다"고 웃어 보였다.
![]() |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청와대 밤마실 야간개방 첫 날인 1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 입구에서 입장을 기다리고 있다. 청와대재단은 1일부터 6일까지 청와대 야간 개방 행사인 '청와대 밤마실'을 진행한다. 이 행사에서는 전통 문양을 활용한 조명으로 꾸민 본관 '청와단청'과 관람객 움직임에 반응하는 '빛의 길', 숲속 같은 느낌의 '빛의 숲', 음악과 조명이 어우러진 관저의 '빛의 정원'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행사는 매일 오후 7시부터 9시까지 진행된다. 2025.05.01. [email protected] |
관람객은 삼삼오오 모여 기념 촬영을 하는가 하면 특별 해설 프로그램을 들으면서 청와대 공간에 얽힌 역사를 전해 들었다.
현장에서 만난 시민은 차기 대통령 집무실이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에서 청와대로 복귀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품고 있었다.
청와대 누리집 관람 후기에도 "마지막이 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마음으로 많은 사람이 찾아왔다" "다시 못 올지도 모르는 청와대 투어는 너무 아름답고 값진 경험이었다" "다시 청와대가 본연의 역할을 다했으면 한다" "청와대가 국민의 품으로 돌아왔다는 것이 실감이 났다. 다음 대통령이 다시 들어올지는 모르지만 국민을 생각하는 대통령이 됐으면 한다" 등 대통령 집무실 복귀 가능성을 열어두고 방문한 관람 후기가 많았다.
청와대재단에 따르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을 파면한 지난달 청와대를 찾은 관람객은 26만1974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1~3월 방문자 수 합계(33만541명)의 79%에 해당하며 청와대 전면 개방 이래로 역대 4월 중 가장 많은 숫자다.
차기 대통령의 청와대 복귀 가능성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지난달 18일 경선 토론회에서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부상했다. 이 후보는 당시 일단 대통령실을 쓰면서 신속히 보수한 청와대로 다시 들어가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다만 차기 대통령이 청와대로 복귀할지는 불분명한 상태다.
한 청와대재단 관계자는 "현재까지 관람 일정과 관련해 변동 사항은 없다"며 "관람을 정상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청와대 관람 예약은 방문일 4주 전부터 누리집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만 65세 이상 노인, 국가보훈 대상자와 장애인, 외국인 여행객은 현장 신청을 통한 입장도 가능하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