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계 소식
“아이 키우며 띄엄띄엄 작업…나무가 버팀목”…백연수 '끝나지 않은 장면'
2025.09.09
김종영미술관서 '오늘의 작가전' 개최
![]() |
백연수 개인전 '끝나지 않은 장면' 전경 *재판매 및 DB 금지 |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 기자 = “나무는 내 노동을 가장 잘 받아주는 재료입니다.”
조각가 백연수가 6년 만에 개인전을 연다. 김종영미술관 전시 ‘끝나지 않은 장면(Unfinished Scene)’은 완료의 미완이 아닌, 진행형의 모색을 기록한다.
전시 공간은 마치 영화의 장면전환 기법인 ‘오버랩’처럼 겹쳐진다. 1층에서 3층까지 이어지는 전시장은 목조 조각의 다양한 장면을 중첩시키며 관객을 새로운 탐구의 흐름 속으로 이끈다.
![]() |
백연수 개인전 '끝나지 않은 장면' 전경 *재판매 및 DB 금지 |
1전시실에는 최신작 '드러나는 것', '끝나지 않은 장면' 연작이 놓였다. 커다란 통나무의 형태를 그대로 살린 채 구, 입방체, 대봉감, 풀줄기 등이 조각돼, 나무와 작가가 서로 타협한 흔적이 드러난다. 과거 ‘구(球)’ 시리즈도 함께 전시돼 오래된 모티브와 새로운 실험이 화면 위에서 겹쳐진다.
2전시실에는 사각기둥 원목 일부를 깎아 일상 사물을 재현한 작품들이 있다. 좌대와 작품이 하나로 이어진 독특한 형식으로, “사물이 놓여 있다”기보다 “나무에서 솟아났다”는 감각을 만든다.
3전시실에서는 두루마리 화장지를 소재로 한 '쌓기 연습' 연작이 이어진다. 재현에서 환원적 형태로 넘어가는 조형 실험은, 마치 다음 장면이 서서히 드러나는 영화적 오버랩처럼 관객의 시선을 새로운 사유로 이끈다.
![]() |
백연수 개인전 '끝나지 않은 장면'전경 *재판매 및 DB 금지 |
“보통 나무를 다루는 사람들이 ‘나무 다루기가 어렵다.’, ‘나무는 다루기 어려운 재료다' 라고 하는데 그거는 내가 주체가 돼서 나무를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끌고 가려고 하니까 다루기가 어려운 거고, 저는 그런 말을 쓰지 않아요.”
그는 또 “요즘은 디지털로 기록되고 사라지는 게 불안하다. 눈앞에 실제로 볼 수 있고 만질 수 있는 물질이 꼭 필요하다”며 “나무는 제 노동을 가장 잘 받아주는 재료”라고 강조했다.
![]() |
Study of Stuff 사물의 조형 연구 가변설치. 각종 나무 2024-2025 *재판매 및 DB 금지 |
나무는 흔히 ‘살아 있는 재료’라 불린다. 건조 과정에서 갈라지고 뒤틀리며, 나이테와 옹이가 제약이 된다. 백연수는 이러한 불완전성을 작업의 본질로 삼았다. 사물 재현을 넘어 통나무의 중량감을 드러내고, 채색을 입혀 실재감을 강화하며, 나무와의 대화를 그대로 작품 속에 중첩시켰다.
박춘호 김종영미술관 학예실장은 “백연수 목조 작품은 두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는 주변 일상 사물을 주목해 재현한다는 점, 둘째는 채색을 통해 실재감을 강화한다는 점”이라며 “조각의 역사가 ‘우상의 역사’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듯, 그는 재현을 통해 조각의 본질을 직관적으로 탐구했다”고 설명했다.
박 실장은 이번 전시 제목 '끝나지 않은 장면'이 “완료의 미완이 아닌 진행의 모색”을 뜻한다며, “그의 작업은 일상의 사물에서 출발했지만 추상화와 재료의 미학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시는 오는 11월 2일까지 이어진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