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계 소식

군산역사관, 광복 80주년 기획 '다시 빛으로' 개막

2025.07.22

'우리 한반도, 우리 국어, 나의 이름은' 3부로 11월16일까지 전시

associate_pic

[군산=뉴시스]고석중 기자 = 일제강점기 군산역사관이 광복 80주년을 맞아 잃어버린 정체성을 돌아보는 기획전시 '다시 빛으로-우리 땅, 우리말 그리고 이름'을 22일 개막했다.

역사관은 일제강점기 일본의 외지(外地)가 된 우리 땅과 일본의 지방 언어로 전락하게 된 우리말, 일본의 성씨 제도에 맞게 바꾸어야 했던 우리 이름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를 지키기 위한 노력을 살펴볼 수 있도록 이번 전시를 기획했다.

전시는 한일합방 기념엽서, 전라북도 관내도, 일제강점기 교과서, 조선어학회 회원 사진, 광복 기념우표와 엽서 등 56건 147점으로 군산근대역사박물관 소장품을 비롯해 10개 기관(외솔기념관, 최용신기념관, 국립새만금간척박물관, 한글학회 등)의 협조를 받아 진행한다.

전시는 총 3부로 ▲1부 '우리 한반도'로 일제강점기 일본의 외지가 되어 일제의 편의에 맞게 변경된 우리 땅과 지명을 알아보고, 우리 지명을 지키기 위한 노력과 광복 이후의 모습을 살펴본다.

▲2부 '우리 국어'에서는 일제강점기 국어가 된 일본어와 조선말이 된 우리말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 국어를 지키기 위해 노력했던 모습을 소개한다.

▲3부 '나의 이름은'은 내선일체를 내세우며 개정된 민사령에 따라 시행된 '창씨개명' 당시의 상황과 분위기를 윤치호의 일기 등을 통해 살펴보며, 광복 이후 '조선성명복구령'에 의해 복구된 이름, 그리고 창씨개명이 남긴 아픔을 살펴볼 수 있도록 했다.

역사관 관계자는 "우리 땅, 우리말 그리고 이름은 일제강점기 가장 큰 우여곡절을 겪었다. 당시 이를 지키기 위해 노력했던 분들이 있었기에 지금이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면서 "전시를 통해 우리 땅, 우리말 그리고 이름의 무게와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전시회는 오는 11월16일까지 무료 관람으로 이어질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보기

이광기 갤러리끼, '안녕하세요, 노준의입니다' 기획전

"돈황을 내려놓았다"…인사아트센터, 서용 개인전

정영목 교수 '디스코스 온 아트', 윤해남 개인전 '섬'

미술품 경매 낙찰총액 급감 구조조정기 돌입…온라인 강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