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계 소식

'검은 대리석, 그 속의 금결'…필립 미라조비치, 서울 첫 개인전

2025.04.23

레이지 마이크 갤러리서 5월31일까지

associate_pic
세르비아 출신 작가 필립 미라조비치(Filip Mirazović) 서울 첫 개인전이 레이지 마이크갤러리에서 열린다.

Solace, 1 41x160cm, Oil on
Canvas, Courtesy of Lazy Mike ©Filip Mirazović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 기자 = 인간은 어디까지 인간일 수 있을까. 기술이 인간의 몸과 감각, 기억까지 재구성하는 시대. 세르비아 출신 작가 필립 미라조비치(Filip Mirazović·48)는 ‘인간다움’의 본질을 회화로 묻는다.

서울 삼청동에 위치한 레이지 마이크 갤러리는 필립 미라조비치의 개인전 '검은 대리석, 그 속의 금결'을 5월 31일까지 개최한다. 서울에서는 처음 열리는 이번 전시에서는 신작 회화 20여 점을 통해, 전통 조각과 흉상의 형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그의 조형 세계를 집중 조명한다.

전시 제목처럼 ‘검은 대리석’은 역사성과 위엄, 인간 존재의 무게를 상징한다. 반면 그 속에서 드러나는 ‘금빛 결’은 기술 시대에서도 결코 지워지지 않는 인간성의 흔적을 은유한다.

미라조비치는 “우리는 여전히 인간적인가”라는 질문 아래, 고전적 인물상과 미래형 사이보그 이미지를 중첩시켜 새로운 ‘존재의 풍경’을 그려낸다.

미라조비치의 작업은 조각과 회화의 경계를 넘나든다. 바로크와 로코코 조각의 장식성을 참조한 화면 구성에는 아르데코, 아르누보 등 근대적 미감이 겹쳐 있다. 흑대리석 질감과 부드러운 목재, 유약을 입힌 도자기질 표현은 작가가 고전 조형언어를 통해 어떻게 ‘기술 시대의 인간’을 소환하는지를 보여준다.

associate_pic
필립 미라조비치(Filip Mirazović) 개인전 전경. *재판매 및 DB 금지


인물들은 종종 갑옷처럼 딱딱한 외피에 감싸여 있다. 유려하지만 위장된 형상은 정체성이 드러나는 동시에 가려지는 양가성을 드러낸다. 작가는 이 회화들을 “진실에 다가서는 장소”라고 표현하며, 자전적 체험과 심리적 풍경을 응축한 정제된 언어라 말한다.

이번 전시는 단순히 조형적 성취를 넘어 철학적 사유를 기반으로 한다. 니체의 ‘초인’ 개념에서 출발한 인간 초월성에 대한 탐구는, 포스트휴먼의 논의로 확장된다. 인공지능, 유전자 편집, 신경과학의 진보가 인간의 정체성을 재구성하는 오늘, 작가는 “인간과 기술은 공존할 수 있는가”라는 근본적 질문을 던진다.

필립 미라조비치는 파리를 거점으로 활동하고 있다. 작품은 X뮤지엄(베이징), Zuzeum(리가), 세르비아문화원(파리) 등 여러 공공 및 개인 컬렉션에 소장되어 있다.

한편 레이지 마이크 갤러리는 2022년 라트비아 리가에 본점을 두고, 2024년 서울 삼청동에 브랜치를 개관하며 아시아 진출을 본격화했다. ‘국경을 넘는 예술’이라는 슬로건 아래 다양한 국제 작가들과 협업을 이어가고 있으며, 주요 글로벌 아트페어에도 활발히 참여 중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보기

가나아트파크, 어린이날 맞아 ‘보Go! 놀Go! 찍Go!’ 축제

국립중앙박물관, '삼국 기와'로 역사문화탐구 첫 강연회

'자개 버드나무'의 몽환적 풍경…정회윤 개인전

'미디어 조각 선구자' 토니 아워슬러, 부산서 亞 첫 개인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