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계 소식

수애뇨339, 개관 9주년…이능호·박성욱 '굽 과 합' 기획전

2025.02.05

associate_pic
수애뇨339 '굽 과 합' 설치전경,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 기자 = 서울 평창동 예술공간 수애뇨339는 개관 9주년 기념으로 도예작가 이능호와 박성욱의 '굽 과 합' 기획전을 7일부터 3월 14일까지 개최한다.

작업의 원재료인 흙을 독창적인 형태와 구성으로 실현시키는 두 작가의 작품은 한국 고유의 미학인 굽과 합의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수애뇨339 2층 전시장 내외부를 아우르며 전시한다.

거대한 검은 돌 같은 작품을 선보인 이능호는 이번 전시에 대표작  '집'과 '집 – 그 이후' 연작을 공개한다. 호암미술관에 소장된 연작이자 작가가 '좋은 기운(상서로운 기운)이 응집된 최소의 덩어리'라고 소개하는 '집'은 그가 과거 씨앗을 보고 느낀 생명의 경이로움을 둥근 타원형의 형태로 함축했다.

흙을 쌓아 올리며 형태를 두들겨 빚는 전통옹기 제작 기법 중 하나인 ‘타렴질’을 통해 노동집약적으로 완성되는 작업들은 단순 기물이 아닌 정적인 아름다움을 간직한 오브제로 변모하여 정서적 치유와 편안함을 선사한다.

associate_pic
박성욱 작가 '굽 과 합' 설치 전경,  *재판매 및 DB 금지

박성욱은 지속적으로 천착해온 색다른 매력의 '편(片)' 연작을 선보인다. 자유분방한 멋의 대명사인 조선시대 분청사기를 현대적인 관점으로 재해석한 도예 작업으로 국내외에서 주목받고 있는 작가다.

'편(片)'작업은 수천 개의 편(片)들을 모자이크처럼 반복적으로 촘촘히 나열하는 방식으로 완성되는데, 마지막 편이 끼워졌을 때 비로소 완성되는 풍경은 도예가 아닌 회화처럼 보인다.

박성욱은 “편 작업은 공(空), 간(間)의 켜를 기억'하는 과정"이라고 했다. 이는 그가 평소 산을 오르며 새로운 흙을 찾아 담고, 분쇄를 하거나 수비를 거쳐 작은 조각으로 자른뒤 장작가마로 소성하는 고된 덤벙분청기법의 과정이 완성된 '편(片)'에 담겨있기 때문이다. 편들은 흰색부터 푸른색까지 다양한 층의 색감을 드러낸다.

전시기획을 맡은 카다 크리에이티브 랩(KADA Creative Lab) 전혜정 대표는 "그릇의 밑바닥에 붙은 나지막한 받침을 가리키는 ‘굽’은 본래 다른 존재를 받쳐주거나 돋보이도록 만들어졌기에, 편과 같은 다른 존재와 ‘합’쳐져야 그 가치를 발한다는 점으로부터 출발했다"며 "이번 전시는 '굽 과 합'처럼 사람도 서로 의지하며 합을 맞추어 살아가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았다"고 전했다.     

한편, 두 작가의 주요 연작 사이사이에 비치된 생활 도예 작업들도 또 다른 관람 포인트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보기

서진석 관장 "亞 최초 전시·포럼·페어 '디지털 미디어아트 페스티벌' 개최"

'대전 미술품 직거래 프리마켓' 참여 작가 200명 모집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유산 배움 확산 나선다

명작은 명작끼리 통한다…유홍준 "겸재·추사·윤형근은 K아트 뿌리"[박현주 아트클럽]